
안녕하세요 오늘은 중도 퇴사할 경우 연말정산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도 작년에 회사를 그만두어 중도 퇴사 연말정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1. 중도퇴사란? 그해 연도 중간에 회사를 그만두고, 연도 말까지 취업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칙적으로 중도퇴사자의 연말정산은 회사를 그만둔 다음 달 월급날에 정산을 하게 되어있습니다. 2. 중토퇴사 연말정산 방법 연말정산시기 중도퇴사자의 연말정산은 퇴직하는 달의 급여를 지급할 때 함께 지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2023년 8월 20일에 회사를 그만두고 급여일이 9월 5일인 경우 급여일인 9월 5일에 연말정산을 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 달 말인 9월 30일까지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 제출해야 합니다. 근로자는 퇴직한 달 급여를 지급받는 날까..

요즘은 100세 시대라고 하지요. 우리의 기대수명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매달 월급에서 공제하여 나라에서 운영해 주고 있는 국민연금. 국민연금 수령나이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운영자금의 고갈을 이유로 점점 수령나이를 늦추고 있는 걸까요?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국민연금가입나이 ㅇ18세 이상부터 소득이 있을 경우 60세까지 납부 ㅇ 국민연금 수령을 위해 최소가입기간이 10년입니다. / 국민연금 수령나이 출생연도 국민연금 수령나이 1952년생까지 60세 1953~1956년생 61세 1957~1960년생 62세 1961~1964년생https://minwon.nps.or.kr/jsppage/minwon.jsp 63세 1965~1968년생 ..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최대 53%를 돌려주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인 K패스가 2024. 5월부터 시작한다 합니다. 1.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 k패스란 월15회이상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일반인과 청년이라면 대중교통비용으로 지출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시 환급하여 돌려주는 패스권을 말합니다. - 기존 한달 21회 사용에서 15회로 한도를 하향 조정하여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수 있게 하였습니다. - 기존 교통수단이외에도 GTX-A, 광역버스 등 장거리 출퇴근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검토 중이나 1회당 환급 상한 금액은 아직 논의중이라고 합니다. 2. 지급요건 전국 지하철 과 버스등 대중교통을 월15회 이상(최대 60회) 이용 3. 적립률(환급률) 일반20%, 청년 30%, 저소득..

강원특별자치도는 도지역에서 열심히 일하는 근로 청년들을 위한 청년 디딤돌 2배 적금 지원사업을 추진하니 관심있는 분들은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1. 청년 2배 적금 사업내용 지역에서 성실히 일하는 근로 청년들을 위한 청년 디딤돌 2배 적금 지원 - 사업명 : 청년 디딤돌 2배적금 지원사업 - 신청기간 : 2024.1.15(월) ~ 1. 21(일)까지 2. 청년 2배 적금 모집인원 300명(강원도 전체) 3. 청년 2배 적금 지원대상 - 주민등록상 강원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대상연령은 만 18세이상 ~ 만 39세 이하 ※ '85.1.1.~'06.12.31. 출생자 / 가구당 1명 신청 - 강원특별자치도에 소재 사업장에서 근로하거나 창업중인 자 - 소득기준 기본 중위소득 150% 이하 4. 청년 2배 적금 지원..

안녕하세요. 아이 낳아 기르기가 만만치 않은 요즘이지만 사랑스런 아이들을 보면 안 낳았으면 어쩔뻔 했나 생각이 들때도 있습니다. 경제적인 부담은 있지만 그래도 인생에 행복을 선물해 주는 소중한 인연입니다. 오늘은 지원 확대된 2024년 출산 지원금에 대하여 안내하겠습니다. 2024년 출산 지원금 금액 및 세부 사항 1. 첫만남 이용권 : 둘째 이상 다자녀로 확대 - 지원대상 : 출생신고를 마치고 주민등록번호를 발급받은 출생아 - 지원금액 : 첫째 200만원, 둘째부터 300만원 - 사용기간 : 출생 후 1년이내 사용(미사용 금액은 소멸) - 지급시기 : 지원대상으로 결정 통보된 날부터 - 지급방법 : 국민행복카드 마우처로 지급 - 신청방법 : 방문신청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온라인신텅 : 복지로..

퇴사 후 바로 취직을 하지 않는 경우 국민연금 납부 예외 신청을 하는 방법입니다. 국민연금 납부 예외 신청 퇴직하게 되면 회사에서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자 자격상실 신고를 하게 되면 지역가입자로 전환됩니다. 퇴직 이후 소득이 없기에 국민연금 납부 예외 신청을 해야 합니다. 납부예외 기간은 총 30개월이내입니다. 국민연금 임의 가입 국민연금은 최소 10년을 부어야 나중에 수급 가능한 연령이 되었을 때 받을 수 있으며 10년이 안되었을 경우 에는 나중에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서 납부예외 신청이 안닌 추가 납부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소득이 없어도 국민연금을 계속해서 낼 수 있는 임의 가입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보통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안내장을 보내줍니다. 월 납입 금액은 최소 90,000원에서 최대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