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전기차 배터리 MSDS를 작성할 때 주요 항목

돌고래사과 2025. 3. 25. 21:43
반응형

작성 시 포함해야 하는 주요 항목

전기차 배터리 MSDS

 

1. 제품 및 회사 정보 제품명 (예: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사 및 공급사 정보 (회사명, 주소, 전화번호, 비상연락처) 용도 및 적용 분야 (예: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

 

2. 유해성 및 위험성 정보 GHS(Global Harmonized System) 분류에 따른 유해성 분류 위험성 문구 및 주의 문구 (예: 화재 위험, 화학 반응 가능성) 관련 법규 및 규제 정보

 

3. 성분 및 구성 정보 주요 화학 성분 및 함량 (예: 리튬코발트산화물, 니켈, 망간, 전해질 등) CAS 번호 (Chemical Abstracts Service Number)

 

4. 응급조치 요령 눈, 피부 접촉 시 조치 방법 흡입 또는 섭취 시 응급처치 방법 의사의 조치 필요 여부

 

5. 화재 시 조치 방법 적절한 소화제 (예: CO₂, 건식 화학 소화기, 분말 소화기) 소화 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가스 정보 (예: HF, CO, LiO₂) 소방관을 위한 특수 보호 장비

 

6. 누출 시 대응 방법 환경 보호 조치 (예: 배터리 손상 시 전해질 유출 방지) 청소 및 수거 방법 (예: 흡수제 사용, 밀폐된 용기에 보관)

 

7. 취급 및 저장 방법 안전한 취급 방법 (예: 충격 및 열 노출 방지) 적절한 저장 조건 (예: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에서 보관)

 

8. 노출 방지 및 개인 보호구 작업장 내 노출 기준 보호 장비 (예: 장갑, 보호 안경, 환기 시스템)

 

9.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색상, 냄새, 상태 (고체, 액체 등) 인화점 및 폭발 한계 수용성 여부

 

10. 안정성 및 반응성 화학적 안정성 (예: 정상적인 사용 시 안정) 피해야 할 조건 (예: 고온, 습기, 충격) 분해 시 생성물 (예: 유독 가스 발생 가능)

 

11. 독성 정보 급성 독성, 피부 및 눈 자극성 정보 장기적 노출 시 영향

 

12. 환경 영향 정보 생태 독성 정보 (예: 수생 생물에 대한 영향) 생분해성 및 축적성 여부

 

13. 폐기 시 주의사항 배터리 및 폐기물 처리 방법 관련 법규 및 규제 사항

 

14. 운송 정보 UN 번호 (예: UN3480, 리튬이온 배터리) 포장 그룹 및 운송 분류 (육상, 해상, 항공 운송 시 주의사항) 위험물 분류 여부

 

15. 관련 법적 정보 국내외 규제 사항 (산업안전보건법, 화학물질관리법 등) 유해화학물질 및 위험물질 해당 여부 추가적인 고려 사항 국제 표준 준수: GHS, OSHA, REACH, UN ST/SG AC.10-11 등 국내 법규 준수: 산업안전보건법, 화학물질관리법, 환경부 및 노동부 규정 이 항목들을 포함하여 작성해야 MSDS가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MSDS 발급 시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법적 요구사항

 

1. 관련 법규 및 규제 기준

 

① 산업안전보건법(고용노동부) 제110조(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비치·제공 등) 제조자·수입자는 화학물질 또는 이를 포함한 제품에 대한 MSDS를 작성하여야 함. MSDS에는 물질의 명칭, 유해성·위험성, 응급조치 방법, 취급·저장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함. 근로자가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사업장에 비치 및 교육해야 함. 제111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제출 및 비공개 신청) 해당 물질이 일정 기준 이상 위험할 경우,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MSDS를 제출해야 함. 영업 비밀 보호 신청 가능(하지만 핵심 정보는 공개 필요). ② 화학물질관리법(환경부) 제9조(유해화학물질 등의 표시) 유해화학물질을 포함한 제품에는 MSDS 작성 및 표시가 필요함. 수입된 화학물질도 동일한 기준 적용. 제11조(화학물질의 유통 관리) 화학물질을 제조·수입·유통하는 자는 MSDS를 작성하여 거래 상대방에게 제공해야 함. ③ 위험물안전관리법(소방청) 제3조(위험물의 분류 및 취급) 리튬이온 배터리는 특정 위험물로 분류될 수 있음. 운송 및 보관 시 MSDS에 따른 안전 기준을 준수해야 함. ④ 유해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기준(고시) GHS(Global Harmonized System) 기준에 따라 유해성·위험성 분류 및 경고 문구 표시.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화학물질 명칭, 유해성 경고 문구, 안전조치 정보 포함 필수. ⑤ 국제규격 및 기타 법규 UN 규정: UN ST/SG AC.10-11(위험물 운송 규정) OSHA(미국 산업안전보건청) 규정 준수 REACH(유럽연합 화학물질 규제) 규정 준수

 

2. MSDS 필수 기재 항목 (법적 필수 포함 사항)

 

✅ 1. 제품 및 회사 정보: 제조사 및 공급사 정보, 긴급 연락처

✅ 2. 유해성 및 위험성: GHS 분류, 신체 및 환경 영향

✅ 3. 성분 정보: 화학명, CAS 번호, 농도

✅ 4. 응급조치 요령: 피부, 눈 접촉, 흡입 시 대처법

✅ 5. 화재 시 조치 방법: 적절한 소화제, 화재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

✅ 6. 누출 시 대응 방법: 환경 보호 조치, 청소 및 수거 방법

✅ 7. 취급 및 저장 방법: 보관 조건, 취급 주의사항

✅ 8. 노출 방지 및 보호구: 작업장 내 노출 기준, 보호 장비

✅ 9. 물리·화학적 특성: 인화점, 폭발 한계, pH 등

✅ 10. 안정성 및 반응성: 화학적 안정성, 피해야 할 조건

✅ 11. 독성 정보: 급성 독성, 피부 및 눈 자극성

✅ 12. 환경 영향 정보: 생태 독성, 분해성

✅ 13. 폐기 시 주의사항: 폐기물 처리 방법, 법적 규제

✅ 14. 운송 정보: UN 번호, 포장 그룹, 운송 규정

✅ 15. 관련 법적 정보: 국내외 규제 준수 여부

 

3. MSDS 제출 및 관리 의무

1️⃣ 제조자·수입자는 MSDS를 작성하여 제공해야 함

2️⃣ 근로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MSDS를 사업장에 비치해야 함

3️⃣ 유해물질이 포함된 경우, 정부 기관(고용노동부·환경부)에 제출 필요

4️⃣ MSDS 내용이 변경될 경우 즉시 갱신 및 제공해야 함

5️⃣ 외국에서 수입된 제품은 국내 법규에 맞춰 MSDS를 한국어로 제공해야 함

 

4. 추가 주의사항

✔ MSDS 미제출·허위 작성 시 과태료 부과 가능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시 최대 5천만 원)

✔ 유해물질 포함 여부에 따라 추가 규제 적용 가능 (예: 독성 화학물질, 환경 유해물질)

✔ 배터리 제조사·수입업체는 자체적으로 MSDS를 작성하거나 전문가(행정사 등)의 검토를 받아야 함

 

 

반응형